'한글날'의 유래를 아시나요?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세"
책이나 방송을 통해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텐데요,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의 내용입니다.
지금 쓰는 한글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죠? 이 내용은 조선 시대 세종이 직접 신하들에게 글자에 대한 설명을 적게 한 것입니다.
이 문장으로 지금 우리가 쓰는 한글의 시작을 알린 것입니다.
10월 9일 맞이하는 한글날은 1446년 '훈민정음'반포 이후 벌써 567돌을 맞이했습니다.
그동안 한글은 공기나 물처럼 늘 우리 곁에 있었기 때문에 그 중요성과 소중함을 모르고 지나쳤을 텐데요 오늘 한글날을 맞이해 우리가 쓰는 한글과 한글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휴일을 넘어서 뜻을 기려야 할 소중한 한글날
올해부터 10월 9일은 공휴일입니다.
한글날은 훈민정음이 오늘날에 한글로 창제되어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날입니다.
일제 강점기에 한글을 통해 민족의 자긍과 민족혼을 되찾기 위해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작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습니다.
한글날은 1946년에 공휴일로 기념했다가 1990년에 경제 논리를 앞세운 단체들의 요구로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으며, 그 후 ‘한글날 국경일 승격 운동’이 벌어지면서 올해 다시 공휴일로 재지정이 되었다고합니다.
단순히 경제 논리로 대우받지 못했던 한글날이 2013년에 다시 국경일로 승격되면서 언어와 문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나라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게 되었습니다.
한글의 우수성은 세계가 인정할 만큼 최고의 문자입니다.
소설 ‘대지’로 노벨 문학상을 받은 미국 여류 소설가 펄벅은 ‘한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하며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말했을 정도니까요. 이런 한글도 국문으로 공식적인 인정을 받은 것은 반포 450년 후에나 가능했습니다.
한글은 혹독한 일제강점기를 지나 온갖 외래어가 판을 치는 지금까지 온 것입니다.
오늘은 10월 9일 한글날입니다.
한글을 기리는 날인만큼 한글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외래어 쓰지 않기, 인터넷 용어 쓰지 않기, 외계어나 신조어 쓰지 않기 등을 실천해보는건 어떨까요?
세계도 인정한 우리의 한글!!
한글을 사용하는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써 더욱 한글을 사랑하고 귀히 써야겠습니다~
정말 좋은 글 읽고 갑니다^^
답글삭제세계가 인정한 우리의 한글
우리나라가 정말 자랑 스럽습니다
온세계가 인정하는 과학적인 한글..
답글삭제우리 아이들이 더욱 한글을 사랑하고 예쁜말을 사용했음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친구.
답글삭제나는 싶어 한국어 글꼴 당신이 사용하고 이미지.
내가 어디서해야합니까?
링크를 제공하면 나는 기쁠 것이다.
감사합니다